## v1.5 변경 사항 안내 ##
기본 골격은 유지하면서 이곳저곳을 손 봤습니다.
이전 사항에 대해서는 이전 글을 참고해 주세요.
1. 유소년 팀, U-20을 U-18로 변경(유소년 계약 최대 연령도 18세로 조정)
2. 컵 대회 일정이 국가대표팀 일정과 겹치지 않도록 조정
(1부 리그를 제외한 하부 리그의 경우, 리그 일정이 국대 일정과 겹침. 차출이 많을 시엔 경기 연기 여부 메세지가 뜸)
3. 출장 정지 규정을 옐로 카드 [5장-1경기 출장 정지, 10장-2경기, 15장-3경기, 이후 5장당-3경기]로 통일
4. 디비전 리그 2컵(5,6부 리그컵)의 조별 단계를 삭제(홈어웨이 토너먼트로 통일)
5. 챔피언스 컵을 각 리그 우승팀들(+1부 리그 준우승팀)이 모두 참가하는 단판 토너먼트로 변경 (12월~1월)
----- -----
안녕하십니까.
스왑리그를 하나 가지고 왔습니다.
14버전에서도 선 보였던 지브롤터 월드 리그입니다.
다만 마구잡이로 볼륨을 늘려서 만들다 보니 이전 버전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므로 주의 바랍니다.
로스터는 15.3 기본 로스터를 사용하였습니다.
기타 로스터와의 호환성은 확인하지 않았습니다.
----- -----
[리그]
지브롤터 1부 리그 - 1개조 20팀
지브롤터 2부 리그 - 2개조 40팀
지브롤터 3부 리그 - 2개조 40팀
지브롤터 4부 리그 - 2개조 40팀
지브롤터 5부 리그 - 4개조 80팀
지브롤터 6부 리그 - 4개조 80팀
지브롤터 7부 리그 - 8개조 160팀
지브롤터 8부 리그 - 8개조 160팀
[컵 대회]
지브롤터 록 컵 (1부-8부 리그) - 단판 토너먼트
지브롤터 시니어 리그 (1부-4부 리그)
(2-4부 리그 팀들의 플레이오프 후 1부 리그 포함한 80개 팀이 조별 리그, 이후 토너먼트)
지브롤터 디비전 2 리그 컵 (5부-6부 리그) - 홈어웨이 토너먼트
지브롤터 디비전 3 리그 컵 (7부-8부 리그) - 홈어웨이 토너먼트
지브롤터 슈퍼 컵 (1부 리그 우승팀 vs 지브롤터 록 컵 우승팀)
지브롤터 챔피언스 컵 (1부-8부 리그 각 우승팀+1부리그 준우승팀의 슈퍼컵)
(단 첫 시즌에는 명성 상위팀들이 경기를 치룹니다. 두번째 시즌부터 정상적으로 가동)
지브롤터 챌린저스 컵 (시니어 리그, D2컵, D3컵 우승팀들의 슈퍼컵)
(단 첫 시즌에는 명성 상위팀들이 경기를 치룹니다. 두번째 시즌부터 정상적으로 가동)
특징
1. 모든 리그, 컵 경기는 9명 후보에 5명 교체 가능
2. 7-8월, 1월이 이적 가능 기간, 로스터 제한은 없음. 비자 제한도 없음
3. 기본적으로 최상위 리그 명성이 80이 넘는 국가 중심으로 팀을 선정
(명성이 낮을 수록 2,3개 팀을, 명성이 높을 수록 10~20개 팀을 선정, 단 대한민국은 예외적으로 20개 이상 팀을 선정)
4. 각 리그(각 조)별로 최우수 선수, 최우수 유망주, 득점왕, 감독, 베스트 일레븐(+후보) 선정
컵 대회는 최우수 선수, 유망주 선정
5. 각 리그의 하위 조에는 지역 경계를 설정하여 가능한 지역별로 갈라지도록 설정
6. 중계권료와 상금을 비교적 넉넉하게 설정(리그 상금은 각 경기의 결과에 따라 승무패 상금이 매번 지급)
7. 각 B,C 팀, 하위 팀을 제거, 2군 및 U-18으로 일치 (카스티야 같은 경우에는 레알의 위성팀으로 설정)
8. 대륙컵+클럽 월드컵을 삭제 (리그 컵과 챔피언스 컵, 챌린저스 컵 등으로 의미 대체)
9. 국가 대표팀 경기는 기존처럼 진행 (특정 기간 아시아, 아프리카 선수들의 국대 차출 러시에 주의할 것)
개인적으로 즐기기 위해 만든 것이라 부족한 점이 많지만, 재미있게 즐겨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추천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