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사전 설정>
가상 선수 및 스탭진 사용(Use Fake Players and Staff)
체크하면, 실존 선수, 실존 스태프 대신 가상 생성 선수, 가상 생성 스태프들로만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사용합니다.
실제 경기 일정 사용 안 함(Do not use Real Fixtures)
실제 대회 경기 일정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경우, 해당 실제 경기 일정을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기본 로스터엔 실제 대회 경기 일정 데이터가 거의(혹은 전혀) 없기 때문에 사실상 체크해도, 안 해도 달라질게 거의 없다.
기본 스태프 생성 안 함(Do not Add Key Staff)
‘플레이 가능’으로 선택된 리그의 팀들 중, 주요 스태프(ex. 수석 코치, 코치 등)가 없는 팀에 가상 생성 스태프를 추가합니다.
가상 선수 추가(Add Players to Playable Teams)
체크하면 ‘플레이 가능’으로 선택된 리그의 팀들 중, 선수의 수가 부족한 팀에 가상 생성 선수를 추가합니다.
*이 옵션을 체크 해제하면 ‘플레이 가능’으로 선택된 리그의 팀들 중, 선수의 수가 부족한 팀엔 임시 생성 선수(일명 회색 선수)가 생성된다.
첫 시즌 이적 시장 이적 활동 불가(Disable First Window Transfer Activity)
체크하면, 게임을 시작하자마자 모든 구단의 이적 예산을 0으로 만들어 모든 이적 활동을 가능한 최소화 시킵니다.
*단, 이 옵션을 키더라도 이적료가 지불되지 않는 형태의 계약 및 이적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적료 없이 급료만 분담하는 형태의 임대, 0원의 이적료로 이루어지는 이적, 또는 자유 계약 선수 중 0원의 계약금(이적 예산에서 지출되기 때문)으로 합의한 이적 등은 가능하다.
선수 능력치 표시(Disable Player Attribute Masking)
유저가 감독 중인 팀의 선수들, 스카우트 되지 않은 선수들을 제외한 모든 선수들의 능력치가 범위 값으로 표시됩니다.
*해당 능력치 범위는 유저의 감독 능력치 중, ‘선수 이해도(24세 이상의 선수들만 해당)’, ‘유소년 이해도(23세 이하의 선수들만 해당)’ 수치에 따라 결정된다.
현재 감독이 있는 구단은 맡지 않음(Prevent control of teams with managers in place)
체크하면, 유저는 감독직이 공석인 팀에만 부임할 수 있습니다.
게임 내 에디터 사용 금지(Prevent use of the In-Game Editor)
체크하면, 해당 게임에선 인게임 에디터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인게임 에디터를 구매한 경우) 인게임 에디터 메뉴조차 표시하지 않고 싶다면, 환경 설정/인터페이스 설정/‘인게임 에디터 메뉴 표시’ 체크 박스 해제.
게임 시작 날짜
시즌을 시작하기 전, 몇 주차의 프리 시즌을 진행할 것인지 결정(ex. 7월 9일-6주, 7월 23일-4주, 7월 30일-3주, 8월 20일-프리 시즌 없음)
예전에 정리 해뒀던건데 햇갈리시는 분들이 간혹 보이길래 올립니다.